반응형
썸네일 카메라 노출 보정(EV)이란? 사진 밝기를 조절하는 가장 직관적인 설정 📌 개요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가 자동으로 밝기를 설정해주긴 하지만, 항상 정확한 노출이 나오는 건 아니다.특히 역광, 하얀 배경, 야경처럼 극단적인 조건에서는 사진 밝기가 과하거나 어둡게 나오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바로 **노출 보정값(EV)**이다.노출 보정은 카메라가 자동으로 판단한 노출값에 대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값을 적용해 조정할 수 있는 설정이다.✅ 노출 보정값(EV)의 개념EV(Exposure Value)는 카메라의 자동 노출 기준을 기반으로 의도적으로 밝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값이다.기본값은 0이며, 사용자가 EV +로 설정하면 더 밝게, –로 설정하면 더 어둡게 촬영된다.EV +1.0 ~ +2.0: 사진이 전체적으로 더 밝아짐EV –1...
썸네일 사진이 어둡게 나오는 이유? ISO·셔터스피드·노출 보정으로 해결하는 3가지 방법 “카메라로 찍을 땐 괜찮아 보였는데, 사진이 저장된 걸 보니까 너무 어두운 거예요.”이런 경험, 한 번쯤 해보셨죠?특히 실내나 저녁처럼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이런 사진이 어둡게 나오는 이유가 더 자주 발생합니다.사실 이 문제는 복잡한 게 아니에요.카메라의 기본 설정 몇 가지만 확인하면 누구나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금방 적용할 수 있는 핵심 세팅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ISO 설정이 너무 낮아요ISO는 카메라 센서가 빛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조절하는 값이에요.숫자가 낮으면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지만, 어두운 환경에선 사진이 검게 나올 수 있어요.환경추천 ISO햇빛 가득한 낮ISO 100~200흐린 날/실내ISO 400~800야간/야경 촬영ISO 1600 이상📸 사진..
썸네일 사진이 흐릿하게 나오는 이유? 선명하게 찍는 핵심 설정 3가지 혹시 내가 사진을 찍었는데 이렇게 선명하지 않으세요?“왜 찍을 때는 괜찮았는데, 집에 와서 보면 사진이 다 흔들려 있죠?”사진을 처음 배우는 사람뿐 아니라, 어느 정도 촬영을 해본 사람도 흔들림 문제는 계속 겪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사진이 흔들리는 이유는 단순합니다.그리고 대부분은 아주 기본적인 세 가지 설정 문제에서 발생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진이 흔들리는 이유 TOP 3를 구조적으로 정리하고,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해결 방법까지 안내드립니다.✅ 1. 셔터스피드가 너무 느리다가장 흔한 이유입니다.셔터스피드는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으로, 이 시간이 길수록 카메라가 흔들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기준은?1/60초 이하로 떨어지면 대부분의 상황에서 흔들림이 발생합니다.특히 망원 렌즈일수록 더 빠른 셔터..
썸네일 내 카메라 색감 왜 이래? 사진 망치는 색감 바로잡는 3가지 방법 사진을 찍었는데 내 눈으로 본 것과는 전혀 다른 색으로 나와 당황한 적이 있는가?카메라마다, 심지어 같은 브랜드 안에서도 기종에 따라 색감이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내 카메라 색감 왜 이래?" 하는 상황은 초보자들에게 흔한 고민이다.이번 글에서는 카메라 색감이 어색하게 나오는 원인과, 색감을 바꾸거나 보정하는 3가지 실질적인 방법을 소개한다.1. 화이트밸런스(WB) 수동 조정하기많은 사람들이 WB를 '자동(AWB)'으로 두고 촬영하지만, 상황에 따라선 색감이 노랗거나 푸르게 치우치는 경우가 많다.✔ 수동 WB 설정 방법실내 촬영: 3200~4500K (텅스텐 계열 조명일 때)실외 촬영: 5000~6500K (태양광 기준)혼합광 환경: 직접 켈빈값 조절 or 회색 카드 사용화이트 벨런스 하나만으로도 보정..
썸네일 내가 찍은 사진이 이상한 이유, 이 5가지 실수 때문입니다 (초보자 필독) 사진 촬영을 시작한 입문자들이 가장 자주 하는 고민 중 하나는 “왜 내 사진은 예쁘게 안 나올까?”입니다. 장비는 괜찮은데 결과물은 뭔가 아쉽다면, 설정이나 연출에서 놓치고 있는 실수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진 퀄리티를 망치는 대표적인 5가지 초보 실수**를 정리해 드립니다.---## 1. 📸 초점이 안 맞는다 (포커스 실패)사진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선명도**, 즉 초점입니다. 자동 초점을 사용하더라도 인물의 눈이 아닌 배경이나 다른 피사체에 맞춰질 경우, 사진은 흐릿해 보입니다. 특히 개방 조리개(F1.8~F2.8)처럼 아웃포커싱이 강한 렌즈일수록, 미세한 초점 차이도 눈에 띄게 됩니다.  사진에서 포커스는 '사진작가가 이 사진을 보는 이들에게 하..
썸네일 [3점 조명] 가장 기본적인 조명 3점 조명에 대해 <키 라이트/필 라이트/림 라이트> 안녕하세요~  이여라 입니다. 오늘은 빛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영상 및 사진을 촬영할때 장비, 테크닉, 모델, 소품, 의상, 컨셉 등 중요하지 않은게 없지만가장 중요한 한가지를 고르라면 저는 빛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영상 및 사진 촬영에서도 가장 기본으로 쓰이는 3점 조명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우선 3점 조명은 피사체를 기준으로 정면 양쪽에 조명을 하나씩 그리고 사선 뒷쪽으로 또 하나의 조명을 설치하여 3개의 점에서 빛이 나와 3점 조명이라 합니다.위에 사진을 보면 메인 광원인 키 라이트, 서브 광원인 필라이트, 인물을 배경과 분리해줄 빽 라이트(림 라이트)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점 조명3점 조명중 필 라이트 와 림 라이트를 제외하고 키 라이트만 사용한 1점 조명 사..
반응형